메뉴닫기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 자료실
  • 한국의 수자원
  • 수자원 관리체계의 개선

수자원 관리체계의 개선

댐관리 요원의 전문화와 조직의 개선

 

다목적댐 운영을 통한 수자원 이용의 극대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현행 다목적댐 관리사업에 수도사업 등 타부문과의 연계운영체제 확립, 수계별 물관리 자동화 추진을 위한 조직기반 조성, 조사와 연구개발 기능의 강화 및 수계별 조직 전환을 위한 분야별 전문인력 육성과 보강, 수량 및 수질관리 기술고도화 및 연구개발 활성화를 위한 전문인력 육성과 상시 수량 및 수질관리 체제를 확립하기 위한 현장 수질관리 인력의 단계적 충원 등을 감안한 단계적 조직 운영 개선이 요구된다.

 

이미 개발된 이·치수 관리 시스템을 토대로 우리나라 전 수계를 효율적으로 통합관리하기 위해서는 대형 Work Station급의 종합컴퓨터 시스템에 의한 수계별 다목적댐 간의 연계최적운영 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하고 수문 및 수질관측시스템의 자동화 및 현대화에 역점을 두어 기본 자료의 정확한 측정을 기해야 할 것이며, 자료 취득 과정의 흐름을 단일화 시키고 신뢰도가 높은 수문정보 통신 Network를 구축하여 Data Base의 통합을 꾀하여야 할 것이다.

 

 

다목적댐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수계별 댐군의 연계운영, 댐관리 업무의 과학화 및 전문화를 통한 다목적댐 기능 향상과 운영 효율화를 도모하려면 이수 기능, 치수기능, 발전, 수질관리 및 이를 지원하는 기본자료 취득 및 DBMS와 각각 특정한 목적으로 개발된 타 시스템과의 Interface 및 유관기관과의 On-line Net-work로 구성되는 가목적댐군의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한 적극적인 기술개발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H/W 및 S/W 개발을 토대로한 시스템 구성과 다목적댐 운영관리 업무의 자동화 목표에 맞추어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목적댐의 운영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고 물관련 전문성 확보와 대외기관과의 경쟁력 강화 및 다양한 매체로 신속한 정보전달을 통하여 의사결정 지원 강화를 위해서는 이수, 치수, 발전, DBMS 및 각종 다목적댐 운영을 위한 각각의 기능이 하나의 컴퓨터 시스템에 통합되어 첨단의 통신 Network 기술을 이용 다목적댐을 관리함으로써, 수자원의 효율적 운용을 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홍수통제소, 한국전력공사, 기상청과의 On-line 실시간 정보를 교환하므로써 국가적인 차원에서 치수기능 및 에너지 관리를 꾀할 수 있으며, 정보 교환의 부재에서 발생하는 논쟁의 소지도 감소될 수 있을 것이다. 장기 수자원 관리계획에 있어서는 추계학적 동적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에너지 생산량의 최대화를 도모하며, 유입량 예측, 용수수요 예측, 하류 유지용수, 홍수조절 계획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홍수조절을 위해서는 실시간 강우자료에 의한 유출분석 수행과 상·하류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댐 방류량을 결정할 수 있는 최적 방류량 결정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며, 유출분석 과정에서 수행되는 모형 매개변수 산정에 있어 수문기술자의 경험에 의한 수동적인 방법에서 탈피해야 할 것이다. 한편 GIS 및 최적화기법들에 의핸 유역 및 강우 사상을 대표할 수 있는 매개변수가 다목적으로 생서되는 댐 유입량 예측기간을 최소화해야 하며, 강우량 예측을 위해서는 기상청의 강우예측시스템과 연계하여 앞으로 발생하는 홍수량의 산정에 정확도를 높여 홍수 피해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또한 Radar System을 도입하여 미계측지역의 강우량을 산정할 수 있고 T/M강우자료와 종합하여 보다 정확한 강우 산정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발전분야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의 전체 에너지관리를 총괄하는 한국전력공사와 수력에너지를 생산하는 한국수자원공사와의 On-line화로 상호간의 년간, 월간, 일간, 최저발전 운영계획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수자원 및 에너지 관리를 국가적인 차원에서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수자원의 질적관리의 경우 하천 및 수질환경의 원격감시 Monitoring을 통한 장기·중기·단기 수질 예측을 통하여 수량 및 수질을 동시에 고려하는 저수지 운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수질관리는 Remote Sensing과 GIS가 연계되면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수문모형의 입력자료로서 가장 중요한 강우량은 지점우량을 관측하는 Rain gage와 Radar를 이용하여 관측할 수 있으며, Radar를 이용할 경우 넓은 지역에 대해 실시간으로 강우의 공간적변화 정보를 연속적으로 제공하여 Rain gage에 의한 관측보다는 보다 정확한 강우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기능은 하나의 통합된 데이터 베이스와 연계 되어야 하며, 기본적으로 Multi-Media를 제공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시스템(Relational data base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과거의 Text 중심의 자료뿐 아니라 Text와 화상정보를 종합하고 의사결정 지원의 강화를 통한 수문분석 모형과 연계되어 모형의 입력자료로 즉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GIS를 위한 자료에 대해서도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며 전문가 시스템(Expert System)에서 필요한 각종 수문 정보 지식에 대한 Knowledge Base도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다목적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실시간 자료의 취득 및 과거 많은 자료의 해석과 이를 바탕으로 댐 시설물에 대한 제어를 통하여 운영을 하게 되는 바 이를 인력으로 해결하기란 매우 힘들며, 더욱이 긴박한 홍수 상황속에서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궁극적으로 On-line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하여 시간과 인력을 절감하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