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논문투고심사시스템 바로가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바로가기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학회소개
인사말
학회개요
학회연혁
학회조직
기구표
위원회
지회안내
정관 및 제규정
역대회장단
학회수상자
CI / 발전계획
찾아오시는길
학회활동
수공학워크샵
미래물포럼(前통합물관리포럼)
세미나/심포지엄
학술발표회
국제학술활동
분과연구과업보고회
포토갤러리
학회일정
투고안내
학회지 「물과미래」
국문논문
영문논문
온라인 논문투고
문헌정보
학회지 「물과미래」
논문집
학술발표회논문집
수자원정책비전
간행물검색
문헌검색
학술대회 웹프로시딩
자료실
수공학워크샵
수공학워크샵동영상
세미나/심포지엄/토론회
이슈페이퍼
기타자료실
연구보고서
한국의 수자원
회원마당
가입안내
회원종류
회원동정
회원검색
특별회원
열린광장
공지사항
행사안내
뉴스레터
한국수자원학회TV
구인게시판
질문과 답변
자유게시판
관련사이트
학술발표회
행사개요
사전등록
발표신청
행사일정
광고/전시안내
교통/숙박안내
이벤트/관광
전체메뉴 보기
모바일 메뉴보기
모바일 회원가입/마이페이지/영문 메뉴보기
학회소개
서브메뉴보기
인사말
학회개요
학회연혁
학회조직
기구표
위원회
지회안내
정관 및 제규정
역대회장단
학회수상자
CI / 발전계획
찾아오시는길
학회활동
서브메뉴보기
수공학워크샵
미래물포럼(前통합물관리포럼)
세미나/심포지엄
학술발표회
국제학술활동
분과연구과업보고회
포토갤러리
학회일정
투고안내
서브메뉴보기
학회지 「물과미래」
국문논문
영문논문
온라인 논문투고
문헌정보
서브메뉴보기
학회지 「물과미래」
논문집
학술발표회논문집
수자원정책비전
간행물검색
문헌검색
학술대회 웹프로시딩
자료실
서브메뉴보기
수공학워크샵
수공학워크샵동영상
세미나/심포지엄/토론회
이슈페이퍼
기타자료실
연구보고서
한국의 수자원
회원마당
서브메뉴보기
가입안내
회원종류
회원동정
회원검색
특별회원
열린광장
서브메뉴보기
공지사항
행사안내
뉴스레터
한국수자원학회TV
구인게시판
질문과 답변
자유게시판
관련사이트
학술발표회
서브메뉴보기
행사개요
사전등록
발표신청
행사일정
광고/전시안내
교통/숙박안내
이벤트/관광
학회소개
서브메뉴보기
인사말
학회개요
학회연혁
학회조직
기구표
위원회
서브메뉴보기
기획위원회
대외협력위원회
학술위원회
편집위원회
기술위원회
국제교류협력위원회
운영위원회
회원협력위원회
수자원 현안위원회
특별위원회
지회안내
정관 및 제규정
역대회장단
학회수상자
서브메뉴보기
2020's
2010's
2000's
1990's
1980's
1970's
기타
CI / 발전계획
찾아오시는길
학회활동
서브메뉴보기
수공학워크샵
미래물포럼(前통합물관리포럼)
세미나/심포지엄
서브메뉴보기
2020년대 세미나/심포지엄
2010년대 세미나/심포지엄
2000년대 세미나/심포지엄
1990년대 세미나/심포지엄
1980년대 세미나/심포지엄
학술발표회
국제학술활동
서브메뉴보기
2020년대 국제 학술활동
2010년대 국제 학술활동
2000년대 국제 학술활동
1990년대 국제 학술활동
1980년대 국제 학술활동
해외교류현황
분과연구과업보고회
서브메뉴보기
2000년대
1990년대
포토갤러리
서브메뉴보기
[포토] 정기총회
[포토] 학술발표회
[포토] 수공학워크샵
[포토] 세미나/심포지엄
[포토] 국제 학술대회
학회일정
투고안내
서브메뉴보기
학회지 「물과미래」
국문논문
서브메뉴보기
투고안내
투고지침
논문심사흐름도
영문논문
온라인 논문투고
문헌정보
서브메뉴보기
학회지 「물과미래」
논문집
학술발표회논문집
수자원정책비전
간행물검색
문헌검색
학술대회 웹프로시딩
자료실
서브메뉴보기
수공학워크샵
수공학워크샵동영상
세미나/심포지엄/토론회
이슈페이퍼
기타자료실
연구보고서
한국의 수자원
서브메뉴보기
우리나라의 수자원
수자원 시설현황
미래의 물사정
수자원의 적극적인 개발
물부족 극복 방안
수자원 관리체계의 개선
수자원 개발계획 기본 방향
회원마당
서브메뉴보기
가입안내
회원종류
회원동정
회원검색
특별회원
열린광장
서브메뉴보기
공지사항
행사안내
뉴스레터
한국수자원학회TV
구인게시판
질문과 답변
자유게시판
관련사이트
서브메뉴보기
학회 및 관련단체
정부 및 공공단체
연구기관
일본
미국
외국 기타
국내 기타
학술발표회
서브메뉴보기
행사개요
사전등록
발표신청
행사일정
광고/전시안내
교통/숙박안내
이벤트/관광
로그인
회원가입
English
온라인 논문투고심사시스템 바로가기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바로가기
2025년 학술발표회
2025.5.21(수) ~ 23(금),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2025년 학술발표회
2025.5.21(수) ~ 23(금),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2025년 학술발표회
2025.5.21(수) ~ 23(금),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수자원 관리
지속 가능한 물 관리를 위한 소통과 협력의 중심
한국수자원학회는 댐, 저수지, 하천 등 수자원의 효율적이고 지속 가능한 관리를 위해 연구 성과, 정책 제안, 기술, 교육이 학계와 실무 현장에서 활발히 공유될 수 있도록 학술 교류와 협력을 지원합니다.
수문분야
물의 순환을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다
한국수자원학회는 강수, 유출, 증발산 등 수문 데이터의 분석과 모형 활용이 학계와 산업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력과 지식 교류를 지원합니다.
수리분야
물의 흐름을 이해하고, 더 안전한 구조물을 만들다
한국수자원학회는 수리 구조물의 설계와 해석, 실험 및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수리 분야의 전문 지식이 학계와 산업계 전반에 공유되고 확산될 수 있도록 학술 교류와 협력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습니다.
수문 원격탐사
데이터가 그리는 수자원의 미래
한국수자원학회는 위성 기반 수문 데이터를 활용한 강수, 증발산, 토양수분 등의 분석과 예측 기술이 학계와 실무 현장에서 폭넓게 확산될 수 있도록, 지식 교류와 협력의 장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논문 투고 안내
논문 투고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으로 논문을 제출하고 심사를 받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학회지 『물과 미래』
1968년 부터 '물과 미래'를 매월 발행하고 있으며, PDF 원문자료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학회 활동 소식
학회 소식, 워크숍, 연구 프로젝트 등의 학회 활동 소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논문집
Journal Archive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의 최근 게재 논문 및 연구 자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바로가기
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25 Vol.58, Issue 10
더보기
Estimation and field applicability analysis of the velocity index for non-contact discharge measurement
비접촉식 유량 측정을 위한 평균유속환산계수 산정 및 현장 적용성 분석
홍수기 접촉식 유량측정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비접촉식 표면유속 기반 평균유속환산계수(α)를 산정
위천 5개 지점에서 ADCP와 SVR을 이용해 대수·멱함수·실측비교 기법으로 α값(0.76~1.20)을 도출
지점별 특성을 반영한 α 보정이 비접촉식 유량측정 정확도 향상에 효과적임을 제시
Influence of vegetation branches on turbulent flow structures in submerged vegetated flows
식생 가지가 침수식생 난류흐름 구조에 미치는 영향 분석
식생 가지로 인해 운동량 변화가 좁은 영역에 집중되어 강한 전단층을 형성
식생 가지 주변의 소규모 와류가 Reynolds 응력 및 난류운동에너지 증가에 기여
식생가지는 연직 난류 확산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횡 확산을 증가시켜 혼합양상에 변화 유도
Advancement and practical application of cumulative damage rate calculation model for water distribution system
상수도관망의 누적피해도 산정 모형의 고도화 및 실제 적용
누적피해도 산정모형의 고도화
실제 상수도관망에 적용하여 적용성 검증
상수도관망의 효율적인 유지관리에 기여 가능성 확인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data-driven prediction model for real-time flood response in small streams
소하천의 실시간 홍수 대응을 위한 데이터 기반 예측모형 개발 및 적용
행정안전부 스마트 계측관리시스템, 기상청 방재기상관측망, MAPLE 예측강우 데이터를 통합한 데이터 기반 예측 기법 제안
4변수 비선형 노모그래프와 관계식을 활용하여 유량과 수심 산정 및 Manning 방정식을 적용하여 홍수위 추정 기법 제안
실측 기반 융합 모델을 통한 선제적 홍수대응 역량 제고 및 중·소하천 재해예방 및 실시간 홍수 예·경보 체계 구축 기여
Volumetric estimation method in river body based on SWOT satellite water surface elevation data
SWOT 위성 수위 자료 기반 하천 수체 담수량 산정 기법 개발
SWOT 위성 수면고도(WSE)와 CAD 기반 DEM을 융합하여 수위-담수량 관계식 구축
ArcGIS Cut/Fill 분석을 통해 수위별 담수체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산정
SWOT-지상 수위 비교 결과, 평균절대백분률오차(MAPE) 1.68%로 높은 정확도 검증
Assessment of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using observation-based water budget analysis in a Korean watershed
국내 유역의 실측기반 물수지 분석을 통한 수문학적 특성 평가
국내 13개 유역을 대상으로 실측 기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강수·유출·증발산 자료 간의 물수지 폐합률을 5–10% 이내로 확보, 실측자료의 신뢰성을 입증
Budyko 프레임워크를 적용해 유역별 수문 반응 특성을 정량화, 기후 건조도와 토지이용(특히 관개)의 영향을 명확히 구분함
관개 지역은 산지보다 증발산 비율이 높아 인위적 수분공급이 유역 수문에 큰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고, 향후 관측 기반의 통합 물순환 평가 체계 구축 필요성을 제시
Impact of an ensemble of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on improving groundwater level prediction in mid-mountainous region of Jeju Island
인공지능 모델의 앙상블이 제주도 중산간지역 지하수위 예측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제주도 중산간 지역의 2개 지하수위 관측정에 대해 3개 인공지능(LSTM, GRU, ANN) 모델과 앙상블 모델은 1~3개월 미래 지하수위를 적절히 예측함
3개 인공지능 모델의 지하수위 예측 성능의 우열은 서로 달라 더욱 개선된 지하수위 예측을 위해서는 서로 다른 인공지능 모델의 결과를 활용하는 앙상블 모델이 필요함
앙상블 모델은 3개월 예측에 대해 0.7184 이상의 적절한 NSE 값을 나타내었으며, 개별 인공지능 모델 대비 NSE 값이 최대 0.1434만큼 개선된 예측결과를 도출함
Development of a spatio-temporal deep learning model for urban drainage outflow prediction
우수관망 유출량 예측을 위한 시공간 딥러닝 모델 개발
실시간 계측 기반 시공간 딥러닝 유출 예측 모델 개발
CNN-RNN 결합 구조를 통한 공간·시간 정보 통합 학습
도시 우수관망 데이터 기반 모델 적용성 및 예측 정확도 검증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indirect benefit of flood mitigation river improvement project using spatial information web crawling techniques
공간정보 웹 크롤링 기법을 활용한 홍수저감 하천정비사업의 간접편익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flow and mixing characteristics of inflow rivers into Paldang Lake under hydraulic structure operations
수리구조물 운영에 따른 팔당호 유입하천 흐름 및 수체 혼합 특성 연구
고해상도 수리·수질 통합계측 수행
수리구조물 운영 조건에 따른 성층화 형성 특성 규명
유량비 변화에 따른 수체 혼합 및 관리방안 제시
한국수자원학회 TV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TV
더보기
초청강연
피할 수 없는 미래, 인공지능(초개인화 생성형 AI)
김준하 / 광주과학기술원 교수
학회 리뷰
2025년 원태상 기념강연
최성욱 / 연세대학교 교수
인터뷰
4대강사업과 우리나라의 물관리 정책방향에 관하여 심명필 전 회장님과의 인터뷰
심명필 / 한국수자원학회 제21대 회장
튜토리얼/강의
KWRA eClass 난류
한국수자원학회
학회 소식
공지사항
11/13
2025
2026년 회원정보 변동사항 수정 요청의 건
11/12
2025
수자원정책분과 전문가 세미나 개최 안내
11/10
2025
2025년 제3회 에너지분과위원회 세미나 개최 안내
11/07
2025
대한민국 국제물주간 2025 특별세션 개최 안내
행사안내
11/14
2025
[외부행사]
국회물포럼 제32차 토론회 개최 안내
11/13
2025
[외부행사]
EGU 2026 유역 내 수문–생지화학–생태학 융합세션 초청 (HS10.10)
11/12
2025
[외부공지]
(한국환경산업기술원) '지역 환경기술 혁신 프로젝트(가칭)' 기술수요조사
11/10
2025
[외부행사]
「제5회 K-water 학술상」 시상식 및 물학술 심포지엄 개최 안내
한국수자원학회TV
09/24
2025
제44회 미래물포럼 주제발표
06/02
2025
IHP 교육 컨텐츠 - 수자원분야 입문자를 위한 AI의 개념, 활용 목적, 다양한 기법, 수자원분야 적용 사례
05/26
2025
202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원태상 기념강연(연세대학교 최성욱 교수)
05/26
2025
2025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초청강연(GIST 김준하 교수)
구인게시판
10/29
2025
용인시 재해영향평가 심의위원회 위원 모집 안내
10/24
2025
경기도 2026년도 건설기술심의위원회 위원 공개모집 안내
09/30
2025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부설 극지연구소 2025년 하반기 기간제계약직 채용 안내
09/11
2025
전라남도 지역수자원관리위원회 위원 공개모집 안내
관련 기관
TOP